iDiMi
언어 변경
테마 변경

미국 소매업의 현황과 딜레마

iDiMi-미국 소매업의 현황과 딜레마

미국의 오프라인 소매는 매우 발달했고 유통망도 탄탄하지만 전반적으로 전통적이다. 뉴욕 같은 대도시든 변두리 소도시든 Walmart, Kroger, Target, Belk, T.J.Maxx, Dollar General 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인구 밀집 지역에는 대형 자재·원예·반려동물 용품 상가도 있다. 비교적 정보화된 계산대를 제외하면 ‘뉴 리테일’ 흔적은 거의 보이지 않으며, Amazon Go 가 예외다.

대표적 유형

  • 아울렛(직판): GAP, Old Navy, Michael Kors 같은 캐주얼과 Nike, adidas, Under Armour 같은 스포츠 브랜드의 팩토리 스토어. 재고·사이즈 단절·이월·미세 하자 등 상품을 제조사가 유통상 없이 직접 저가 판매.
  • 오프프라이스 백화점: T.J.Maxx 는 미국 최대 의류·홈 굿즈 디스카운터다. 유명 브랜드의 마감 물량을 정상가의 10–60%로 판매. 진열은 브랜드가 아니라 카테고리별(MK 와 Samsonite 가 같은 가방 코너). 빨간 태그는 추가 인하(하자 가능성). 회전이 빠르고 수량이 얇아, 마음에 들면 즉시 구매가 원칙. 입고 요일(대개 목요일)을 직원에게 확인. 영수증을 보관하면 반품이 쉽다.
  • 프리미엄 백화점: Belk(미 남부 중심 가족 경영 체인)는 RALPH LAUREN, UNDER ARMOUR, CUISINART, COACH 등 고급 브랜드를 취급. 품질·가격이 높은 편이며, The North Face 는 거의 세일하지 않는다.
  • 신선·유기: Whole Foods 는 미국 최대 자연·유기 식품 소매로, USDA 인증 유기 소매 유일 업체다. 과거엔 ‘Whole Paycheck’라 불릴 만큼 비쌌지만, 2017년 Amazon 인수 후 가격이 낮아졌다.
  • 전자제품: Best Buy 는 소프트웨어·게임·음악·휴대폰·카메라·카 오디오·캠코더·대형가전까지 파는 전문 리테일 선두. 중국엔 잠시 진출했다가 철수.
  • 반려동물: PetSmart 는 고양이·개·관상어·조류 먹이와 용품을 팔고, 미용·훈련 등 서비스를 제공.
  • 대형 디스카운터: Walmart, Kroger 등 — 국내 대형마트와 유사한 포맷.

역풍 요인

  • 습관·인구: 45–60세 이상은 매장 선호가 강하고(남성 쇼핑객도 흔함), 한편 Amazon 등 전자상거래와 젊은층의 온라인 습관으로 백화점 방문은 감소.
  • 가격 투명화: 입지 기반 가격 지배력이 약화되며 경쟁 격화, 최종 소매 마진 압축.
  • 과잉 출점: 점포 수가 지나치게 많아 고정비 부담이 큼(예: 미시시피 잭슨 동쪽 10마일 내 Belk 2곳).
  • 가계 재정: 양질의 일자리 감소로 주거·의료·교통·식비 이후 가처분 여력이 부족. 2019년 초 연방정부 셧다운 때 다수 공무원 가계가 식료 부족을 겪으며 취약성이 드러났다.

게시일: 2025년 9월 16일 · 수정일: 2025년 10월 26일

관련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