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iMi
언어 변경
테마 변경

소매의 간략한 역사

iDiMi-소매의 간략한 역사

소매업은 최종 소비자(개인·집단)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핵심 요소는 사람·상품·장(場)이다. 단일한 ‘혁명’은 없었고, 기술과 함께 점진적·반복적으로 진화해 왔다. 소매가 있었기에 인간의 욕구는 더 잘 충족되었고, 소매는 다시 기술 진보를 자극했다. 대략 다섯 단계를 거쳤다.

  1. 물물교환 단계. 잉여가 생기면 교환 동기가 생긴다. 물물교환은 소매의 태동이지만, 교환 품목과 반경은 제한적이다. 가치에 대한 공통 인식이 가격을 만든다.

  2. 일반 등가물(화폐)의 등장. 가계와 개인의 분업이 진전되고, 상하기 쉬운 수확물은 동시적 교환이 어려워 화폐가 생겼다. 화폐는 1:1 교환의 제약을 풀어, 노동·물건을 돈으로 바꾼 뒤 원하는 재화를 살 수 있게 했다. 유통기한의 제약을 벗기고 분업·생산성·다양성을 끌어올렸다. 시장과 가게가 등장하며 소매가 본격화되었다.

  3. 1·2차 산업혁명. 증기가 수공업을 표준화 공장으로 이끌고, 경쟁과 브랜드가 태어났다. 철도·증기선이 근대 무역과 덤핑을 가능케 했다. 전기·내연기관·신소재가 공급을 풍부하게 하며 소매는 호황을 맞았다.

  4. 전자상거래 시대. 지역 한계와 정보 비대칭을 줄이고, 최적 가격 구매와 최초의 공개 리뷰 채널을 만들었다.

  5. 뉴 리테일. 2016년 알리바바의 마윈은 물류·빅데이터·클라우드를 바탕으로 온·오프라인을 융합하는 ‘뉴 리테일’을 제시했다. 10–20년 후엔 ‘전자상거래’가 아니라 뉴 리테일이 될 것(60–80%)이라 전망했고, 2018년엔 주로 소비재 소매를 뜻한다고 보완했다.

뉴 리테일의 요체는 ‘장’이다. 모바일·IoT·AI·현대 물류로 온·오프라인을 연결하고, 행동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를 감지하며, 전 과정 추적과 정밀 프로파일링으로 개인화를 구현한다.

30년 뒤, 우리는 지금의 소매 포맷을 골동품처럼 바라볼지 모른다.

게시일: 2025년 9월 18일 · 수정일: 2025년 10월 26일

관련 게시물